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소감문(1-1, 최현성)
작성자
이종희
작성일
2019-05-20 10:34
조회
128
국회의사당을 다녀와서...
국회의사당을 다녀와서 국회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국회는 처음에 1919년 4월 10일 3.1 운동이 일어난 해에 세워졌다. 그 때는 ‘임시정부’라고 불렸다. 상해에서 시작한 임시정부는 가흥, 항주, 진강 등 계속해서 임시정부의 위치가 바뀌었다. 그러다가 결국 광복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 후에 1948년 제헌국회를 개원하였다. 하지만 1950년부터 1953년까지 6.25(한국전쟁)이 일어났다. 3년 간 전쟁은 이어졌지만 국회는 쉬지 않고 활동했었다. 그리고 드디어 1974년 지금의 여의도 국회의사당이 완공되었다. 총 6년 1개월 동안 건설한 건물이었다. 그래서 그 건물에는 300명의 국회의원들이 자리 잡고 있다. 제일 앞쪽 센터자리에는 지금 정권을 잡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자리 잡고 있다. 그 뒤에 수 제일 많은 자유한국당과 그 뒤에 다른 정당이 자리 잡고 있다. 국회의사당의 규모는 약 10만평으로 8만평에 조금 못 미치는 청와대보다 컸다. 그리고 국회의사당 건물의 외관을 보았을 때 돔 형식으로 된 멋진 건물이었다. 국회의사당 내부도 화려해 보였다. 그리고 국회의사당에 정문 입구에 있는 해태상이 해태제과에서 선물로 준 것이고 헌정기념관에서 역사적인 기록들과 여러 물건들을 보며 국회의 많은 역사들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렇게 좋은 점도 있지만 요즘 뉴스를 보면 국회가 혼란스러워서 아쉽다. 그래서 다음에 국회에 갈 때는 국회의원이 되어서 국회의 혼란함을 바로잡고 국회에서 직접 토의토론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앞으로는 뉴스를 통해 국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자세히 관찰하고 국회에서 설명 들었던 9월부터 100일 간 국회에서 활동하는 것을 자세히 주의 깊게 들어야겠다. 국회의사당에 다녀와서 국회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알게 되어서 좋은 경험이었다.
국회의사당을 다녀와서 국회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국회는 처음에 1919년 4월 10일 3.1 운동이 일어난 해에 세워졌다. 그 때는 ‘임시정부’라고 불렸다. 상해에서 시작한 임시정부는 가흥, 항주, 진강 등 계속해서 임시정부의 위치가 바뀌었다. 그러다가 결국 광복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 후에 1948년 제헌국회를 개원하였다. 하지만 1950년부터 1953년까지 6.25(한국전쟁)이 일어났다. 3년 간 전쟁은 이어졌지만 국회는 쉬지 않고 활동했었다. 그리고 드디어 1974년 지금의 여의도 국회의사당이 완공되었다. 총 6년 1개월 동안 건설한 건물이었다. 그래서 그 건물에는 300명의 국회의원들이 자리 잡고 있다. 제일 앞쪽 센터자리에는 지금 정권을 잡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자리 잡고 있다. 그 뒤에 수 제일 많은 자유한국당과 그 뒤에 다른 정당이 자리 잡고 있다. 국회의사당의 규모는 약 10만평으로 8만평에 조금 못 미치는 청와대보다 컸다. 그리고 국회의사당 건물의 외관을 보았을 때 돔 형식으로 된 멋진 건물이었다. 국회의사당 내부도 화려해 보였다. 그리고 국회의사당에 정문 입구에 있는 해태상이 해태제과에서 선물로 준 것이고 헌정기념관에서 역사적인 기록들과 여러 물건들을 보며 국회의 많은 역사들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렇게 좋은 점도 있지만 요즘 뉴스를 보면 국회가 혼란스러워서 아쉽다. 그래서 다음에 국회에 갈 때는 국회의원이 되어서 국회의 혼란함을 바로잡고 국회에서 직접 토의토론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앞으로는 뉴스를 통해 국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자세히 관찰하고 국회에서 설명 들었던 9월부터 100일 간 국회에서 활동하는 것을 자세히 주의 깊게 들어야겠다. 국회의사당에 다녀와서 국회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알게 되어서 좋은 경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