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특강(서순탁 교수) 소감문(3-4 신재윤)
작성자
환일중
작성일
2019-04-12 10:23
조회
154
서순탁 총창님의 명사특강을 듣게 되었다. 강사님은 현 서울시립대학교의 총장직을 맡고 계시고 그 외 훌륭한 업적들도 많이 이루신 분이다. 오늘의 주제는 우리가 평소에도 많이 고민하는 대학에 대한 것 인데 시작 전부터 큰 흥미를 느꼈다. 강사님께서 먼저 대학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서 설명해 주셨다. 대학은 중세시대에서 유래됐는데 처음엔 ‘성직자 양성’을 위해서 생겼다고 말씀해 주셨다. 당시 대학은 교사랑 학자의 공동체란 의미를 가지고 있었고 국가의 지원으로부터 특권을 누렸다고 하셨다. 현재 대학은 학생들의 ‘공동체’라는 의미로 그 의미가 바뀌었다고 하셨다. 이제는 대학에서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하셨다. 한마디로 스스로의 의지와 선택으로 자신을 찾아가는 것이다.
다음으로 강사님께서는 우리가 현재 필요한 인재상에 대하여 말씀에 주셨다. 과거에는 개인의 능력과 문제 해결력이 뛰어난 사람을 선호했다면 현재에는서로 협력하고 문제를 창조하는 ‘융합형 인재’가 필요하다고 말씀해 주셨다. 개인의 능력은 인공지능이나 그 외의 것들로 대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 능력위주가 아닌 타인과 공감하는 관계중심의 인재가 필요하다고 말씀 해 주셨다.
마지막으로 강사님께서 강사님이 근무하시는 서울시립대학교를 소개 해 주셨다. 서울시립대학교는 연구 혁신, 주도, 협력과 가치 나눔을 중심으로 인재를 양성한다고 말씀해주셨다. 그 중에서도 현재 시립대학교가 추진 중인 계획 두 가지를 알려주셨다. 첫 번째는 서울 빅데이터 연구소 설립이다. 빅데이터 연구소란 여러 가지 기술과 자연과학을 이용하여 전 세계의 문제들을 해결할 솔루션을 제시하는 연구소이다. 강사님의 말에 따르면 이 업적은 오직 서울시립대학교만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말씀해 주셨다. 두 번째는 전 세계 UOS글로벌 캠퍼스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캠퍼스는 도시수출의 검병역할, 해외 전문 인력 양성과 서울시립대학교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거창한 계획을 실제로 들어보니 서울시립대학교가 더욱 대단한 학교라고 느껴졌다.
이번 명사특강을 통하여 몰랐던 대학교의 정보들과 서울시립대학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됐고, 큰 뿌듯함과 성과를 느끼게 된 명사특강이었으며 이번년도 명사특강 중 가장 흥미로웠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서순탁 총장님의 강의를 또 듣고 싶다.
다음으로 강사님께서는 우리가 현재 필요한 인재상에 대하여 말씀에 주셨다. 과거에는 개인의 능력과 문제 해결력이 뛰어난 사람을 선호했다면 현재에는서로 협력하고 문제를 창조하는 ‘융합형 인재’가 필요하다고 말씀해 주셨다. 개인의 능력은 인공지능이나 그 외의 것들로 대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 능력위주가 아닌 타인과 공감하는 관계중심의 인재가 필요하다고 말씀 해 주셨다.
마지막으로 강사님께서 강사님이 근무하시는 서울시립대학교를 소개 해 주셨다. 서울시립대학교는 연구 혁신, 주도, 협력과 가치 나눔을 중심으로 인재를 양성한다고 말씀해주셨다. 그 중에서도 현재 시립대학교가 추진 중인 계획 두 가지를 알려주셨다. 첫 번째는 서울 빅데이터 연구소 설립이다. 빅데이터 연구소란 여러 가지 기술과 자연과학을 이용하여 전 세계의 문제들을 해결할 솔루션을 제시하는 연구소이다. 강사님의 말에 따르면 이 업적은 오직 서울시립대학교만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말씀해 주셨다. 두 번째는 전 세계 UOS글로벌 캠퍼스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캠퍼스는 도시수출의 검병역할, 해외 전문 인력 양성과 서울시립대학교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거창한 계획을 실제로 들어보니 서울시립대학교가 더욱 대단한 학교라고 느껴졌다.
이번 명사특강을 통하여 몰랐던 대학교의 정보들과 서울시립대학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됐고, 큰 뿌듯함과 성과를 느끼게 된 명사특강이었으며 이번년도 명사특강 중 가장 흥미로웠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서순탁 총장님의 강의를 또 듣고 싶다.